최근 AI 기술이 기후 문제 해결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구글 데이터센터는 AI로 냉각 시스템 에너지를 40%나 줄였고 캘리포니아에서는 AI 스마트 미터로 전력 소비를 10% 감소시켰다고 해요. 하지만 정작 AI를 돌리는 데 필요한 전력이 어마어마하다는 사실도 알고 계신가요?
기후 예측부터 에너지 절약까지... AI가 하는 일들이 생각보다 많더라고요
요즘 기업들이 탄소 배출량 관리에 AI를 많이 활용하고 있어요. Eugenie.ai 같은 플랫폼은 공장이나 사무실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추적해서 어디서 얼마나 탄소가 나오는지 한눈에 보여줘요. 실제로 이걸 도입한 제조업체들은 평균 30%까지 배출량을 줄였다고 해요.
특히 인상적인 건 AI가 날씨를 예측하는 방식이에요. IceNet이라는 AI 모델은 북극 해빙을 예측하는데 기존 방법보다 훨씬 정확해요. 예전엔 기상청 일기예보도 자주 틀렸잖아요. 그런데 요즘은 AI가 분석한 데이터로 태풍 경로나 폭우 시기를 꽤 정확하게 맞추더라고요.
건물 에너지 관리도 완전히 달라졌어요.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도입 후 에너지 사용량을 38% 줄였대요. 사람이 없으면 알아서 조명과 냉난방을 조절하고 날씨 예보에 따라 미리 준비하니까 낭비가 확 줄더라고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AI가 큰 역할을 하고 있어요.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은 날씨에 따라 생산량이 들쭉날쭉한데 AI가 이걸 예측해서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요. 덴마크는 AI로 풍력 발전 예측 정확도를 높여서 재생에너지 비율을 80%까지 올렸어요.
그런데 AI도 전기를 엄청 먹는다는 걸 아시나요?
여기서 아이러니한 점이 하나 있어요. AI가 에너지를 절약한다면서 정작 AI 자체가 엄청난 전력을 소비한다는 거예요. GPT-3 같은 대형 AI 모델 하나 학습시키는데 이산화탄소가 500톤이나 배출된대요. 이게 얼마나 많은 양인지 감이 안 오시죠? 자동차 한 대가 평생 내뿜는 탄소보다 많은 양이에요.
전 세계 데이터센터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아르헨티나 전체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다고 해요. 2030년쯤 되면 동아시아에서만 AI 칩 제조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1,680만 톤에 이를 거래요. 서울시 전체가 1년 동안 배출하는 양보다 많은 수준이에요.
게다가 AI 장비들은 수명도 짧아요. 2~3년마다 새로운 모델로 바꿔야 해서 전자폐기물도 계속 늘어나고 있어요.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전자폐기물이 매년 5%씩 증가하고 있는데, AI 산업이 이 증가세를 더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해요.
물 사용량도 심각해요. ChatGPT가 50개 정도의 질문에 답하는 동안 500ml 물병 하나 분량의 물이 데이터센터 냉각에 쓰인대요. 마이크로소프트는 2022년에 데이터센터 냉각용으로 64억 리터의 물을 사용했어요.
실제로 활용되는 AI 기후테크의 명암
농업 분야에서 IBM Watson Decision Platform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어요. 브라질의 대규모 농장들은 이 시스템으로 토양 상태와 날씨 데이터를 분석해서 비료와 물 사용량을 30% 이상 줄였어요. 농약 사용량도 크게 감소했고요.
산림 관리 분야도 흥미로워요. 메타와 세계자원연구소가 만든 1m 해상도 글로벌 숲 지도는 나무 한 그루까지 식별할 수 있어요. 인도네시아는 이 기술로 불법 벌목을 70% 줄였다고 발표했어요. 산불 조기 경보 시스템도 AI 덕분에 정확도가 크게 높아졌고요.
해양 분야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요. AI가 위성 이미지를 분석해서 불법 어업 선박을 추적하고 해양 쓰레기 밀집 지역을 찾아내요. 노르웨이는 AI로 양식장의 사료 사용량을 최적화해서 해양 오염을 줄이고 있어요.
하지만 한계도 분명해요. AI는 결국 데이터에 의존하는데 아프리카나 남미의 많은 지역은 데이터 인프라 자체가 부족해요. 선진국 도시들은 AI 혜택을 많이 받지만, 정작 기후 변화에 더 취약한 지역들은 소외되고 있어요.
또 AI가 내린 결정을 왜 그렇게 했는지 설명하기 어려운 것도 문제예요. 기후 정책은 시민들의 이해와 참여가 중요한데 AI가 그렇게 판단했다 고만 하면 신뢰를 얻기 어려워요.
전문가들은 AI를 활용하되 에너지 효율적인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해요. 구글은 이미 AI 모델 학습에 재생에너지만 사용하겠다고 선언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2030년까지 탄소 네거티브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요즘 저는 AI를 기후 문제 해결의 중요한 도구로 보되 만능 해결사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기술 발전과 함께 에너지 효율성, 데이터 접근성, 투명성 문제를 해결해야 진짜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여러분은 AI가 기후 위기 해결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2025.07.03 - [느리게 읽기] - 파리 다락방 이후... 유럽 전체가 40도 찜통이 됐어요
파리 다락방 이후... 유럽 전체가 40도 찜통이 됐어요
지난번에 파리 다락방에서 에어컨 없이 40도를 버틴 이야기 했었죠? 그때만 해도 파리만 그런 줄 알았는데 올해는 유럽 전체가 난리예요. 스페인은 46도까지 올라갔고 독일도 40도를 넘었대요. 그
slowecobag.tistory.com
2025.06.26 - [느리게 읽기] - UN 기후회의 왜 매년 똑같은 논쟁만 반복될까요?
UN 기후회의 왜 매년 똑같은 논쟁만 반복될까요?
UN 기후회의가 열릴 때마다 똑같은 패턴이 반복돼요. 가난한 나라들은 도움을 요청하고 부자 나라들은 약속만 하고 실제론 지원을 안 해요. 2009년에 매년 1000억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는데
slowecobag.tistory.com
'느리게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와 벌의 대멸종... 정말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5) | 2025.07.10 |
---|---|
파리 다락방 이후... 유럽 전체가 40도 찜통이 됐어요 (2) | 2025.07.03 |
알프스 만년설이 사라지면 유럽 여행비가 2배로 오를 수 있어요 (1) | 2025.06.30 |
투발루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는 진짜 이유 (3) | 2025.06.30 |
UN 기후회의 왜 매년 똑같은 논쟁만 반복될까요? (1)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