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게 쓰기

물티슈 한 달에 얼마나 쓰세요?

slowie 2025. 6. 17. 22:34

한국에서만 매년 160만 톤의 물티슈가 생산되고 있어요. 이게 얼마나 많은 양인지 감이 안 오시죠? 저도 예전엔 하루에 물티슈 20장은 기본으로 썼어요. 아침에 얼굴 닦고, 식탁 닦고, 컴퓨터 키보드 닦고, 화장실 변기 시트 닦고... 한 달이면 물티슈 5-6팩은 그냥 사라졌어요. 그치만 작년 이맘때쯤부터 손수건과 행주로 바꿨더니 쓰레기봉투가 눈에 띄게 줄었어요.

 

물티슈 대신 손수건... 처음엔 불편했어요

 

솔직히 처음엔 번거로웠어요. 외출할 때마다 손수건 챙기는 것도 잊어버리고 더러워진 손수건 들고 다니는 것도 찝찝했거든요. 그런데 작은 비닐 지퍼백에 젖은 손수건 2-3장 넣어 다니니까 물티슈랑 별 차이가 없더라고요.

 

청소할 때 물티슈 의존도가 정말 높잖아요? 저도 그랬어요. 먼지 닦을 때, 흘린 음료 닦을 때, 뭐 하나 닦을 때마다 물티슈부터 찾았거든요. 지금은 부엌에 행주 5-6장 준비해두고 용도별로 구분해서 써요. 식탁용, 싱크대용, 가스레인지용 이렇게요. 하루 끝나면 다 모아서 세탁기에 돌려요.

 

책상 청소할 때는 극세사 천을 써요. 물만 살짝 묻혀도 먼지가 싹 닦여요. 예전엔 모니터 닦을 때마다 물티슈 2-3장씩 썼는데 극세사 천 하나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까지 다 닦을 수 있어요. 일주일에 한 번 빨아서 쓰면 되니까 경제적이에요.

 

물티슈 사용과 대체 방법을 보여주는 일러스트. 상단에는 녹색 물티슈 팩 2개가 있으며, 오른쪽 팩에서는 손이 물티슈를 뽑는 모습이 그려져 있음. 하단 왼쪽에는 양손으로 비누칠하며 손을 씻는 모습, 하단 오른쪽에는 수건으로 갈색 바닥을 닦는 모습이 표현됨.

 

배달음식 시킬 때 물티슈 빼주세요 한마디면 돼요

 

요즘은 배달음식 자주 시키잖아요. 저도 일주일에 2~3번은 시키는데요. 배달앱에서 주문할 때 요청사항에 물티슈 빼주세요 라고 쓰면 대부분 안 넣어줘요. 처음엔 이것도 깜빡깜빡했는데 이제는 자동으로 입력하게 됐어요.

 

가끔 그래도 넣어주시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땐 정말 필요한 상황을 위해 서랍에 모아두고 있어요. 캠핑 갈 때나 장거리 여행할 때처럼 정말 손 씻기 어려운 상황에서만 써요.

 

화장실 가서 손 씻는 게 제일 깨끗해요

 

저는 요즘 집에서도 손 더러워지면 무조건 화장실 가서 비누로 씻어요. 예전엔 소파에 앉아서 과자 먹고 물티슈로 대충 닦았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게 더 비위생적이었던 것 같아요. 물티슈에는 방부제랑 향료 같은 화학성분이 잔뜩 들어있대요. 매일 그걸로 손이랑 얼굴을 닦았다고 생각하니 좀 찜찜하더라고요.

 

특히 물티슈로 입 주변을 닦으면 그 화학성분을 먹게 되는 거잖아요. 비누로 손 씻고 수건으로 닦는 게 훨씬 안전해요. 천연 수건은 뜨거운 물에 삶거나 세탁기로 돌리면 깨끗해지니까 오히려 더 위생적인 것 같아요.

 

사용한 티슈를 손에 들고 있는 두 가지 모습. 왼쪽 사진은 여러 장의 흰색 티슈를 구겨서 한 손에 쥐고 있는 모습, 오른쪽 사진은 한 장의 티슈를 엄지와 검지로 집어 들고 있는 모습.

 

물티슈가 썩는 데 수백 년이 걸린대요

 

물티슈 주원료가 폴리에스테르랑 폴리프로필렌 같은 플라스틱 계열 합성섬유래요. 그래서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 수백 년이 걸린다고 해요. 변기에 버리면 하수도도 막히고 바다로 흘러가면 미세플라스틱이 돼서 결국 우리가 다시 먹게 된대요.

 

우리나라에서만 물티슈 폐기물 처리하는 데 연간 1,783억 원이 든다니 이 돈이면 뭘 할 수 있을까 싶어요. 게다가 물티슈 만들고 태울 때 나오는 온실가스도 장난 아니래요. 물티슈 하나 줄이는 게 별거 아닌 것 같아도 모이면 엄청난 변화를 만들 수 있어요.

 

한 달 써보니 이만큼 변했어요

 

정말 급할 때만 물티슈를 쓰는데 한 달에 한 팩도 안 써요. 예전엔 일주일에 2-3팩씩 샀었거든요. 돈으로 계산하면 한 달에 만 원 이상 아끼는 셈이에요. 1년이면 12만 원이잖아요. 이 돈으로 맛있는 거 먹으러 가는 게 낫죠.

 

쓰레기도 확실히 줄었어요. 예전엔 일반쓰레기봉투가 일주일에 2개씩 나왔는데 지금은 2주에 1개 정도예요. 물티슈가 그만큼 많은 부피를 차지했던 거죠.

 

무엇보다 뿌듯한 건 환경에 도움이 된다는 거예요. 제가 1년 동안 안 쓴 물티슈가 대략 100팩 정도 되는데 이게 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될 뻔했잖아요. 작은 실천이지만 의미 있다고 생각해요.

 

이렇게 바꾸고 나니 쓰레기도 줄고, 돈도 아끼고, 환경에도 도움이 되니까 뿌듯해요. 처음엔 좀 귀찮을 수 있는데 한 달만 해보시면 익숙해져요. 물티슈 대신 손수건 하나로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2025.05.13 - [느리게 쓰기] - 일회용품 줄이기, 왜 작심삼일이 되었을까?

 

일회용품 줄이기, 왜 작심삼일이 되었을까?

환경을 위해 일회용품을 줄여보려 노력해봤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거예요. 텀블러 구매하고, 장바구니 챙기고, 배달음식 주문할 때 일회용 수저 안 받기 체크하는 것까지 말이에요. 그

slowecobag.tistory.com